2022.06.08 인제 자작나무숲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장미속

찔레나무

 

작년에 찔레의 새 가지를 꺾어 껍데기를 벗긴 후 와삭와삭 씹어먹었던 기억이 난다. (누가 먹어보라고 줬었다)

별 맛은 크게 느껴지지 않지만 은은한 단맛과 상큼한 맛이 올라왔던걸로 기억한다.

첫인상이 씹어먹었던 기억으로 자리잡게 되어서 찔레만 보면 먹는거로 밖에 보이질 않는다...ㅋㅋ

찾아보니 유사종이 참 많은듯 하다.

제주찔레, 왕찔레 뭐시기 저시기.. 

사실 고광나무가 아닐까 해서 검색해봤었는데 고광나무는 꽃잎이 4개였다. ㅎㅎ

 

낙엽활엽 작은키나무로 줄기는 가시가 많고, 밑으로 처지며, 높이 2m쯤이다. 잎은 작은 잎 5-9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2-4cm, 너비 1-2cm이다. 꽃은 5월에 원추꽃차례로 피며, 흰색이고, 지름 2cm쯤이다. 열매는 10월에 붉게 익는다. 울타리에 심으며, 열매는 약용하고, 어린순은 식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친구들 >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뱀무 Geum aleppicum  (0) 2022.06.11
쇠별꽃 Stellaria aquatica  (0) 2022.06.10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0) 2022.06.10
길마가지나무  (0) 2021.03.22
나문재 Suaeda asparagoides  (0) 2021.02.21

2022.06.07 독산성 산림욕장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뱀무속

큰뱀무

이름이 참 귀여운 식물이다.

뱀무라니 ㅋㅋㅋ

왜 이름이 뱀무가 되었는고 하면 뱀이 자주다니는 곳에 자라는 무잎을 닮았다고 해서 뱀무라고 불려진다고. 

그러나 우리가 보고 있는것은 큰뱀무고, 진짜 뱀무는 꽤 희귀해서 일부 지역에서만 볼 수 있다고 하는데

제주도, 울릉도, 남부지방에서나 볼 수 있다고 한다. 

언젠간 볼 수 있는 날이 오겠지~ 

 

고도가 낮은 숲속의 풀밭이나 냇가 근처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 거친 털이 많다. 줄기는 높이 30~100cm,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잎은 깃꼴겹잎이며, 잎자루가 길다. 끝에 붙은 작은잎은 마름모에 가까운 난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으로 길이 5~12cm, 폭 4~10cm, 끝이 보통 뾰족하다. 줄기잎은 작은잎 2~6장으로 이루어지며, 잎자루가 없거나 짧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한 개씩 달려 모두 3~10개이며, 노란색이고, 지름 2cm쯤이다. 꽃자루에 거친 털과 부드러운 털이 섞여 난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장이다. 수술과 암술은 많다. 열매는 수과이며, 여러 개가 모여 달리며, 7~8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일본, 중국, 소아시아, 동유럽 등에 분포한다. 울릉도, 제주도 및 남부지방에서 자라는 뱀무는 키가 작고, 뿌리잎 끝에 붙은 작은잎은 난형 또는 넓은 도란형으로 끝이 보통 둥글며, 줄기 위쪽에 난 잎은 홑잎이므로 다르다. 어린잎을 식용하며, 뿌리줄기와 잎을 약용한다. 큰배암무라고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 다양성

 

 

 

'친구들 >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찔레나무 Rosa multiflora  (0) 2022.06.12
쇠별꽃 Stellaria aquatica  (0) 2022.06.10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0) 2022.06.10
길마가지나무  (0) 2021.03.22
나문재 Suaeda asparagoides  (0) 2021.02.21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석죽목 > 석죽과 > 별꽃속

쇠별꽃

22.06.08 인제 자작나무숲

쇠별꽃이냐 별꽃이냐 계속 검색해서 학습하여도 금방 까먹는다.

쇠별꽃은 암술의 화주가 5개, 별꽃은 3개..

늘 까먹는단 말이지.. ㅎㅎ

이거는 쇠별꽃이 맞겠지?

'친구들 >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찔레나무 Rosa multiflora  (0) 2022.06.12
큰뱀무 Geum aleppicum  (0) 2022.06.11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0) 2022.06.10
길마가지나무  (0) 2021.03.22
나문재 Suaeda asparagoides  (0) 2021.02.21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목련목 > 목련과 > 목련속 

함박꽃나무

 

수목원에서 일 할 때 처음 보았던 함박꽃나무.

작년에는 경상도에서 보았었는데 전국적으로 꽤 흔한 나무인가 보다.

그 때 같이 있었던 서울대 대학원생 한명이 함박꽃나무 향기를 맡아 보더니

고급호텔의 화장실 냄새가 난다고...ㅎㅎ 재밌는 표현이었다.

 

2022.06.07 인제 자작나무숲 가는길

 

'친구들 >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찔레나무 Rosa multiflora  (0) 2022.06.12
큰뱀무 Geum aleppicum  (0) 2022.06.11
쇠별꽃 Stellaria aquatica  (0) 2022.06.10
길마가지나무  (0) 2021.03.22
나문재 Suaeda asparagoides  (0) 2021.02.21

사람들 및 많은 동물들은 상처가 나면 피를 흘린다.

버섯도 마찬가지로 피(유액)를 흘리는 녀석들이 있으니, 바로 젖버섯속, 털젖버섯속 (Genus Lactarius, Lactifluus) 버섯들이다.

동물이 피를 흘리면 피가 굳어서 피딱지가 생기고, 출혈을 막고 병원균의 침입을 막는 기능이 있다.

그렇다면 젖버섯속, 털젖버섯속의 유액도 같은 역할을 할까?

어느정도 맞다고 보면 된다. 젖버섯의 유액도 빠른 시간에 굳을 뿐 더러,

자신을 먹는 곤충이나 소동물의 입부분을 막아 다른 버섯 보다 비교적 기피하게끔 만드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몇몇 버섯의 유액은 굉장히 매운 (고추의 매운맛 보다는 생마늘을 먹었을 때의 매운맛) 맛이 난다!

따라서 젖버섯류, 털젖버섯류는 버섯의 형태적인 특징 뿐만 아니라 유액의 맛, 색의 변화, 유액의 양 또한 형태분류의 포인트가 되기도 한다.

이런 젖버섯류 중에서도 유액을 으뜸으로 많이 흘리는 버섯이 있는데, 바로 꽤 유명한 식용버섯인 배털젖버섯, Lactifluus volemus 이다.

이 버섯이 흘리는 유액이 어찌나 많은지, 아주 살짝만 상처를 내더라도 굉장한 양의 흰색 유액이 뚝뚝 흘러내린다.

 

상처내기전.
상처낸 후.

이 배털젖버섯은 엄청난 양의 유액 말고도 여러가지 특징이 있어 초보자가 구분하기 꽤 쉬운 버섯에 속한다.

1.     전체적으로 무늬가 없는 주황색

2.     비교적 빽빽한 주름살

3.     엄청게 많은 양의 흰색 부드러운 맛의 유액

4.     독특한 향기

특히 배털젖버섯의 독특한 향기는 그다지 좋은 느낌은 들지 않는데, 여러 문헌의 기록들을 빌려 표현하자면 생선 비린내, 치즈향과 같은 향이 난다고들 한다.

나 역시 동감하는 바이며, 그 꿉꿉한 향은 밥도둑 보다는 밥대검찰청에 가까운 향이었다.

다행히, 이 익숙치 않은 향은 조리하면 대부분 사라지게 된다.

식감은 거의 모든 젖버섯류와 무당버섯류가 그렇듯, 그 독특한 세포 구조 때문에 퍼석퍼석한 식감을 갖고 있다.

보통의 버섯 식감이 졸깃졸깃 한 식감이라면 (새송이나 느타리, 팽이의 식감을 생각 하면 된다.) 배젖버섯은 마치 퍼석퍼석한 삶은감자를 입 안에서 으깨듯, 알갱이 하나하나로 분리되는 거친느낌을 갖고있다.

본인도 버섯탐사를 하다가 대량으로 발견 한 적이 있으나,

채집당시 조리 할 수 있는 여건이 안되서 근처 식당에서 오리불고기와 곁들여 먹었다.

흙부분을 칼로 깎아낸 뒤 여러 등분으로 나눈 뒤, 펄펄 끓는 오리기름과 양념에 넣어 조리 하였는데,

으깨지는 독특한 식감덕에 그런진 몰라도 소스가 상당히 잘 배었지만, 버섯같지 않은 식감이 당혹스러워 거부감이 들었었다.

(이후에 추가할 문장)

 

결론

겁나 구린 향과 좋지 않은 식감을 가지고 있음에도 많은 사랑을 받는 배털젖버섯.

사랑받는 야생식용임에도 불구하고 나의 주관적인 평이 좋지 않았던건

쫄깃한 식감을 좋아하는 한국인의 입맛과는 코드가 맞지 않는 점과

마치 외국인이 처음으로 청국장 또는 홍어를 먹었을 때,

익숙하지 않은 맛과 향으로 인해 본능적으로 거부감이 드는 것 과 비슷했던 것 같다.

배털젖버섯 시식은 본인 포함 4명이 함께 했는데,

각각 맛있다, 먹을만 하다, 좀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본인), 맛없다 라는 평가로 나뉘었으니, 맛에 있어선 진입장벽과 호불호가 확실히 갈리는 버섯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어쩄든 야생버섯 입문자라도 쉽게 발견하고 구별 할 수 있는 버섯이니, 한번쯤은 시도해봐도 좋은 버섯.

 

 

Mycenaceae, Agaricales, Agaricomycetidae, Agaricomycetes, Basidiomycota, Fungi

Mycena laevigata Gillet

천가닥애주름버섯

 

천가닥애주름버섯은 소나무나 가문비나무 같은 침엽수 그루터기에서 작게 무리지어서 발생하거나 밀생한다. 가을부터 봄까지 자라는 저온성 버섯인데, 늦겨울에 자란 버섯이 조건만 좋다면 이듬해 이른봄까지 보존되어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연질 버섯이 없어 외롭고 쓸쓸한 추운 겨울날, 헌터들에게 반갑게 인사해주는 기특한 녀석들이다.

 

어원 Etymology

종소명 laevigata는 라틴어 lēvis에서 파생되었고, 윤기나는, 매끈매끈한, 반들반들한 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 천가닥애주름버섯의 갓이 윤기나는 특징을 잘 살려서 작명하였다.

 

형태적특징 Morphological character

거시적특징 Macroscopic feature

 

10~30m, 포물선형(parabolical) 에서 둥근산형(convex), 몇 개체는 중앙이 돌출되어 있는 모습을 보이며 (umbonate) 종종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간 모습을 하고 있다. (deperessed centrally), 뚜력한 홈이 나있거나, 없거나 아주 얕게 있기도 하다. 반투명한 홈선이 있으며 성숙하면 가끔씩 갈색 점으로 얼룩진다. 색은 개체의 성숙도와 발생시 광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햇빛을 덜 받은 개체는 희미한 연갈색을 띠고, 햇빛에 노출된 개체는 회갈색 또는 갈색빛이 비교적 진하게 나타난다. 어린개체일수록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주름살은 대에 23~28개의 주름살이 붙어있으며 대에 치붙음(adnexed, ascending)또는 대의 띠붙음형이다 (adnate), 내리붙음형 (decurrent, decending) 등으로 나타나고 주름살 날은 이가 나있다(tooth). 주름살 색은 백색이고 (white), 간혹 성숙한 개체는 약간 분홍색을 띤다.

30~70mm. 속은 비어있고(hollow), 곧게 뻗어있거나(straight) 휘어있다(curved). 대의 굵기는 일정하고 (equal) 원통형(terete, cylindrical), 털은 없으며(glabrous) 젖으면 매끄럽게 된다(lubricous when wet). 또는 거칠거나 (tough), 백색, 기부쪽으로 갈수록 어두운색 또는 회색빛을 띠는데, 이 특징은 특히 어린개체에서 쉽게 발견된다. 대의 기부는 대개 뿌리모양을 하고 있으며, 백색의 섬유상 균사로 뒤덮혀있다.

맛과 향 특별한 향은 없으며, 은은한 야생버섯의 냄새가 난다.

 

미시적특징 Microscopic features

담자기(basidia)20-30 x 6-7.5 µm, 가느다란 곤봉형(slenderly clavate)이며 4포자형(4-spored)이다. 담자기뿔은 3-5 µm.

포자(spore)7-9 x 3.8-4.8 µm, Q = 1.8-2.1, Qav 1.9, 씨앗모양(pip-shaped)이며, 아밀로이드이다.

날시스티디아(cheilocystidia)25-40 x 5-9 x 1-3 µm, 방추형 (fusiform) 또는 플라스크와 비슷한 형 (sublageniform)이다. 표면은 평활하며(smooth), 정단부 쪽으로 좁아지는데, 끝으로 갈수록 급격히 좁아진다. 가끔은 더 둥글게 나타나는 경우나, 끝이 두갈래로 분지되는 경우가 있다.

측시스티디아(pleurocystidia)는 관찰되지 않는다.

갓표피층균사(Pileipellis)1.5-4.5 µm, 평활하며 젤라틴질 물질에 내장되어있다.

대의 피층균사 1.5-3 µm, 대부분 젤라틴질에 내장되어있다. 표면은 평활하거나 드물게 부풀어있는 돌출형 사마귀 세포가 있으며, 크기는 1.5-7 x 1-2 µm이다.

꺽쇠연결체(clamp connection)는 존재한다.

 

Note

천가닥애주름버섯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비교적 쉽게 동정할 수 있는 버섯이다.

전체적인 흰색, 침엽수 고사목에 다발로 발생, 늦가을부터 이른봄까지 비교적 저온에 발생

지금까지 거시적인 형태를 보고 잔다리애주름버섯으로 많이 동정했던 종이다. 그도 그럴것이, 겨울에 고사목에서 다발로 발생한다는 점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수집했던 표본들을 염기서열 분석 한 결과 천가닥애주름버섯으로 재동정 되었다. 잔다리애주름버섯이 국내에 있는지도 의심스러운 상황이지만, 충분히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유는 추후헤 따로 서술하겠다.

게다가 천가닥애주름버섯은 미세구조의 특징을 기반으로 sect. Fragilipedes에 속하는 반면 잔다리애주름버섯은 sect. Mycena에 속한다. 미세구조적 차이를 서술하자면, 잔다리애주름버섯이 천가닥애주름버섯보다 포자의 크기가 작고, 날시스티디아의 모양에서 완전한 차이가 있다. 게다가, 잔다리애주름버섯이 천가닥애주름버섯보다 갓색이 훨씬 더 뚜렷한 갈색을 띠고 있으며, 표면은 약간의 점성이 있다. 기주 활엽수 고사목, 특히 너도밤나무(Fagus) 에서 주로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를 종합해서 봤을 때, 작년과 올해 잔다리애주름버섯으로 추정되는 버섯을 관찰한적이 있었으나 모종의 이류로 인해 균주수집과 염기서열 분석을 하지 않았다. 매년마다 발생하는 자리에서 계속해서 나는 버섯이므로 올해 겨울에 재검정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