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얕은 물에서 군생하는 버섯으로, 축축한 솔잎, 가지, 낙엽, 솔방울 등에서 발생한다.
국내 기록종인 습지등불버섯 Mitrula paludosa 인 줄 알았으나 염기서열 분석 결과 M. elegans로 나왔다.
Mitrula 속은 육안으로 종 동정까지 힘든 편에 속하고, 현미경을 통해 미세구조를 보아야 자세한 종 동정이 가능하다.
M. paludosa와 M. elegans는 포자 크기에 차이가 있는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M. pauldosa의 포자가 M. elegans 보다 너비가 약간 더 길다.)
M. paludosa는 유럽과 일부 아시아에 서식하는종, M. elegans는 미국에 서식하는종으로, 서식지로 동정하는것도 한 방법으로 나와있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등불버섯속이 M. paludosa인지 M. elegans인지 채집된 표본을 전수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Wang, Zheng, Manfred Binder, and David S. Hibbett. "Life history and systematics of the aquatic discomycete Mitrula (Helotiales, Ascomycota) based on cultur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studies."American Journal of Botany92.9 (2005): 1565-1574.
Redhead, Scott A. "The genus Mitrula in North America."Canadian Journal of Botany55.3 (1977): 307-325.
봄부터 초여름까지 땅에 반쯤 묻혀있는 활엽수 나뭇가지에서 발생한다. 보기 힘든 녀석인데 내 눈앞에 왕창 나타나 주었다. 생김새만큼 생활사가 독특한 버섯인데 불완전세대/완전세대가 따로 있는 버섯이다. 불완전세대는 살아 있는 활엽수에 줄기마름병을 일으키는 병원균#conopleaglobosa로 활동하고, 나뭇가지가 썩어서 땅에 떨어지고 나서야 완전세대인 말미잘버섯으로 활동한다. 먹을순 있지만 맛이 썩 좋진 않다고...